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자동차와 관련된 정보

비 오는 날 당황하지 않기! 워셔액과 와이퍼 점검, 이렇게 하세요

by ZANTGAR=SOONSIN 2025. 4. 21.
반응형

🧴 워셔액 보충 및 와이퍼 교체, 셀프로 충분합니다

운전 중 앞유리에 벌레나 먼지가 묻었을 때, 또는 비 오는 날 시야 확보가 안 되어 당황한 적 있으신가요?
저도 초보 운전 당시 와이퍼가 덜컥덜컥하며 소리를 내고, 워셔액이 뿌려지지 않아 시야가 가려진 적이 있었죠.
이 글에서는 그런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워셔액 보충과 와이퍼 교체 방법을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비오는 날 와이퍼 동작중인 모습

💧 워셔액 보충 방법

✅ 1. 워셔액 주입구 위치 찾기

보닛을 열고 물방울 모양 또는 와이퍼 그림이 그려진 파란색 뚜껑을 찾으세요. 차종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니 차량 매뉴얼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2. 계절에 맞는 워셔액 선택

계절 워셔액 종류 특징
여름 벌레 제거형 벌레 자국, 먼지 제거에 효과적
겨울 동결 방지형 영하에서도 얼지 않음

✅ 3. 워셔액 주입

깔때기를 사용하면 흘림 없이 편하게 주입할 수 있어요.
제가 예전에 그냥 붓다가 엔진룸 주변에 흘린 적이 있어서 이후론 꼭 깔때기를 씁니다.

  • 뚜껑을 열고 천천히 부어줍니다.
  • 뚜껑을 닫은 뒤, 작동 테스트도 잊지 마세요.
워셔액 주입중인 할아버지

🧹 와이퍼 교체 방법

✅ 1. 교체 시기 판단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 유리에 줄이 생기거나 닦이지 않음
  • 와이퍼 작동 시 끼익~ 소리
  • 고무 블레이드가 들뜸 또는 갈라짐

✅ 2. 와이퍼 분리

  1. 와이퍼 암을 세워 고정합니다.
  2. 블레이드를 아래로 밀어 걸쇠를 해제합니다.
  3. 암이 유리에 떨어지지 않도록 수건을 대놓는 걸 추천드려요.

✅ 3. 새 와이퍼 장착

  1. 제품 규격 확인: 보통 운전석과 조수석 길이가 다릅니다.
  2. '딸깍' 소리가 나도록 정확하게 장착합니다.
  3. 장착 후 작동 테스트로 정상 여부 확인

📊 와이퍼 vs 워셔액 관리 주기 비교

항목 권장 관리 주기 비고
워셔액 1~2개월에 한 번 점검 계절별 교체 권장
와이퍼 블레이드 6개월~1년 비 오는 날 이전 점검 필수

💡 셀프 관리 팁

  • 🔍 워셔액과 와이퍼는 ‘비 오기 전’ 점검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 차종별 와이퍼 길이는 차량 매뉴얼 또는 제조사 홈페이지 참고
  • 🧽 와이퍼 교체 후에는 블레이드에 이물질 없는지 확인
  • ⚠️ 겨울철에는 워셔액이 얼지 않도록 반드시 동결 방지 제품 사용

📌 마무리하며

워셔액과 와이퍼는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운전자에게 ‘시야 확보’라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정비소에 가지 않고도 간단히 셀프로 관리할 수 있는 만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저는 한 번 고속도로에서 비 오는 날 와이퍼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식겁한 이후로는 계절마다 꼭 점검하고 있어요.


📚 참고자료

  • 현대자동차 차량 정비 가이드
  •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관리 매뉴얼
  • 불스원 공식 블로그 – 와이퍼 & 워셔액 관리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