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 한국 수입구조 개선이 시급한 이유: 국가별 의존도 분석

by ZANTGAR=SOONSIN 2025. 4. 22.

🌏 우리나라의 주요 수입국 및 수입품목 분석 (2024년 기준)

대한민국은 자원 의존도가 높은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수의 주요 품목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5개국(중국, 미국, 일본, 호주, 사우디아라비아)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높아 국가별 의존도와 수입 품목 다변화 전략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무역파트너 이미지

📊 2024년 대한민국 수입 상위 5개국

순위 국가 수입액 (억 달러) 전체 수입 비중
1 중국 1,548 21.1%
2 미국 821 11.2%
3 일본 547 7.5%
4 호주 449 6.1%
5 사우디아라비아 416 5.7%

🇨🇳 중국

  • 전자기기 및 부품 (40%)
  • 기계류 (20%)
  • 철강 및 금속 (10%)
  • 화학제품 (8%)
  • 섬유 및 의류 (6%)
전자기기 및 부품 이미지

📦 중국1위항목 : 전자기기 및 부품 (4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반도체 제조용 부품 장비 모듈, 웨이퍼 가공 부품 등 약 12%
휴대폰/스마트기기 부품 디스플레이, 배터리셀, 카메라 모듈 등 약 10%
컴퓨터 및 통신장비 부품 메인보드, 저장장치, 커넥터 등 약 7%

⚙️ 중국2위항목 : 기계류 (2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산업용 기계 CNC기계, 금속 가공기, 성형기 등 약 6%
자동화/로봇 시스템 부품 로봇팔, 서보모터, 제어장치 등 약 4%
공정 설비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설비 약 4%

🇺🇸 미국

  • 반도체 및 전자기기 (35%)
  • 항공기 및 부품 (20%)
  • 기계류 (15%)
  • 의약품 (12%)
  • 농산물 (10%)
미국과 반도체 형상화한 이미지

📦 미국1위항목 : 반도체 및 전자기기 (35%)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고성능 반도체 AI, 클라우드 서버용 칩 등 약 15%
통신장비 부품 5G 장비, 라우터, 스위치 등 약 10%
디지털 가전부품 오디오, IoT 기기용 부품 약 7%

✈️ 미국2위항목 : 항공기 및 부품 (2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항공기 완제품 보잉 항공기 수입 등 약 12%
항공기 엔진 군용/상용 제트 엔진 약 5%
항공 부품 랜딩기어, 전자 제어 부품 등 약 3%

🇯🇵 일본

  • 기계류 (40%)
  • 전자기기 및 부품 (25%)
  • 화학제품 (15%)
  • 철강 및 금속류 (10%)
  • 자동차 및 부품 (7.5%)
광학측정장비 이미지

📦 일본1위항목 : 기계류 (4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정밀기계 광학·측정 장비, 공작기계 등 약 15%
산업 자동화 설비 로봇 제어, 생산라인 기계류 약 13%
금속 가공장비 성형기, 압출기 등 약 12%

📦 일본2위항목 : 전자기기 및 부품 (25%)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카메라 센서 스마트폰·자동차용 이미지 센서 약 10%
전기전자 부품 콘덴서, 커넥터, 리드프레임 등 약 8%
계측/의료기기 정밀 제어 장치, 병원용 장비 등 약 7%

🇦🇺 호주

  • 석탄 및 광물자원 (60%)
  • 철광석 (20%)
  • 농산물 (10%)
  • 원유 및 가스 (6%)
  • 기타 (4%)

📦 호주1위항목 : 석탄 및 광물자원 (6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석탄 (유연탄 등) 발전소 연료, 제철 원료 약 40%
희귀광물 (리튬 등) 배터리 소재, 첨단 산업 용도 약 12%
구리·니켈 광 전선, 전자부품 원소재 약 8%

📦 호주2위항목 : 철광석 (2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철광석 원광 고로 제철용 원재료 약 12%
분쇄 철광석 제철 전처리용 약 5%
철제 중간소재 슬래브, 철괴 등 중간 재료 약 3%

🇸🇦 사우디아라비아

  • 원유 (70%)
  • 석유화학제품 (20%)
  • 플라스틱 원료 (6%)
  • 기타 (4%)
사막에서 원유시추하는 이미지

📦 사우디1위항목 : 원유 (7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원유 정제용, 수송용 연료 약 70%

📦 사우디2위항목 : 석유화학제품 (20%)

세부 항목 주요 용도 / 설명 비중 (추정)
나프타 석유화학 원료, 플라스틱 생산 약 12%
에틸렌·프로필렌 합성수지, 접착제 원료 약 5%
윤활유 원액 자동차·산업용 윤활제 제작 약 3%

🔍 의존도 분석 및 개선 방향

  • 중국: 전자부품 수입 비중이 높아 반도체·2전지·디스플레이의 소재 국산화 필요
  • 미국: 항공기·의약품 중심 → 고부가가치 기술 국산화 및 공동개발 필요
  • 일본: 기계류, 화학 소재 → '화이트리스트 배제' 이후 대응력 강화 필요
  • 호주: 자원 중심 수입 → 리튬, 니켈 등 희소금속 확보 다변화 필요
  • 사우디: 원유 의존 탈피 → 신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필요

💭 실생활 팁

수입 구조가 글로벌 경제에 얼마나 밀접한지를 이해하면, 투자·사업·소비에 있어서도 더 전략적인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나 자동차 부품에 문제가 생긴다면, 중국이나 일본 공급망 이슈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마무리하며

우리나라는 제조 강국이지만, 핵심 부품·원자재에서 주요국 수입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편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산업계는 기술 자립도 제고, 소재·부품 국산화, 공급망 다변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경제 안정을 위해서는 이러한 다각적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 참고자료

  • 한국무역협회 수출입 통계 (2024년)
  • 관세청 수입 현황 보고서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별 교역 동향
  • World Bank WITS 통계